-
1
-
⟨書評⟩ 박진동·고유경·남한호·구난희·박소영·정재윤·천은수·김성자·김수미·지모선, 『세계의 역사교육 어떻게 평가하는가』, 선인, 2024
-
신수민;
서울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25,
pp.267-276)
-
2
-
동해를 넘나들며 복원한 발해와 일본 관계사 연구 - 구난희 지음 『발해와 일본의 교류』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, 2017.9 -
-
김은국;
동북아역사재단;
(고구려발해연구,
v.61,
2018,
pp.287-297)
-
3
-
동해를 넘나들며 복원한 발해와 일본 관계사 연구 - 구난희 지음 『발해와 일본의 교류』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, 2017.9 -
-
김은국;
동북아역사재단;
(고구려발해연구,
v.61,
2018,
pp.287-297)
-
4
-
소수민족 문제 차단 국가 안정정책
-
구난희;
;
(국방저널 = National Defense Journal,
v.369,
2004,
pp.58-60)
-
5
-
Jin-dong Park, Youkyung Ko, Han-ho Nam, Ku Nanhee, So-young Park, Jae-yoon Jung, Eun-soo Chun, Sungja Kim, Su-mi Kim and Mosun Ji, How Is Assessment Practiced in History Education around the World?, Sunin, 2024 Changes in the Discourse on History Education Assessment and the Challenges of Historical Thinking
-
Shin, Sumin;
;
(歷史 敎育,
v.173,
2025,
pp.267-276)
-
6
-
Parhae History Awareness in Textbooks from the Korean Empire Period to the 1950s
-
구난희,;
;
(역사교육연구= Studies on history education,
v.21,
2015,
pp.7-46)
-
7
-
외국의 역사교과서 서술 사례 분석 I - 교과체계와 내용조직을 중심으로
-
구난희;
;
(역사교육연구= Studies on history education,
v.15,
2012,
pp.51-99)
-
8
-
北方故土意識의 推移에 관한 고찰 Ⅰ - 발해멸망∼조선후기
-
구난희;
;
(고구려발해연구,
v.42,
2012,
pp.247-275)
-
9
-
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Competition Considering the New Prestige High School Fever: Focused on the Case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
-
구난희,;
;
(정신문화연구 = Korean studies quarterly,
v.34,
2011,
pp.59-89)
-
10
-
일제하 천황인식 형성과 역사교과서의 천황서술 - 1930년대 이후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
-
구난희;
;
(역사교육연구= Studies on history education,
v.12,
2010,
pp.75-1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