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논술과 대학 글쓰기 교육의 연계성 고찰
-
구자황;
;
(泮橋語文硏究,
v.22,
2007,
pp.377-403)
-
2
-
[1930년대 후반 동인지들의 의미] '단층'파 문학의 성격과 의미
-
구자황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4,
1998,
pp.407-436)
-
3
-
[일반논문] ‘독본(讀本)’을 통해 본 근대적 텍스트의 형성과 변화
-
구자황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3,
2004,
pp.213-244)
-
4
-
근대 독본문화사 연구 서설
-
구자황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53,
2008,
pp.1-40)
-
5
-
근대 계몽기 교과서의 생산과 흐름 - 『新訂尋常小學』(1896)의 경우
-
Gu, Ja-Hwang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65,
2013,
pp.501-538)
-
6
-
성장소설과 청소년 문학의 가능성 - 교육 정전을 중심으로
-
구자황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37,
2012,
pp.193-218)
-
7
-
[구인회와 근대성] '구인회'와 주변 단체
-
구자황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,
1996,
pp.129-148)
-
8
-
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 (2) - 이윤재의 『문예독본』을 중심으로
-
구자황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0,
2007,
pp.197-230)
-
9
-
[일반 논문] 이문구 소설의 구술적 서사전통 연구 - 초기소설을 중심으로 -
-
구자황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8,
2002,
pp.323-346)
-
10
-
사이버문학관의 활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일고찰 - 이문구 사이버문학관의 가능성을 중심으로
-
구자황;
;
(인문콘텐츠 = Humanities contens,
v.2009,
2009,
pp.251-2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