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온라인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-국립청주박물관을 중심으로-
-
김보림;
충북대학교;
(중원문화연구,
v.31,
2023,
pp.283-301)
-
2
-
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, 동제여래입상 분석 및 보존처리
-
유자영;
양슬기;
이민희;
국립제주박물관 학예연구실;
국립청주박물관 학예연구실;
국립부여박물관 학에연구실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19,
2018,
pp.69-82)
-
3
-
고 이건희 회장 기증 전한경과 삼한경 일괄 출토유물에 대해서
-
이양수;
국립청주박물관;
(박물관과 연구 =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ournal,
v.1,
2024,
pp.198-233)
-
4
-
방사선투과시험에 의한 망이산성 횡장판갑(橫長板甲)의 제작기법 연구
-
김현정;
김미도리;
오광섭;
이양수;
조남철;
국립청주박물관;
국립김해박물관;
국립김해박물관;
국립진주박물관;
국립공주대학교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7,
2006,
pp.11-24)
-
5
-
무령왕릉 출토 금동은제식리 보존처리 및 제작기법
-
장수비;
최덕순;
김성곤;
곽홍인;
국립공주박물관;
국립청주박물관;
국립공주박물관;
국립공주박물관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6,
2021,
pp.119-142)
-
6
-
신득연 묘 출토복식의 과학적 조사와 응급보존
-
김현정;
부혜선;
국립청주박물관;
국립제주박물관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6,
2005,
pp.17-29)
-
7
-
『漢語指南』版本 比較 - 새로 발굴된 國立淸州博物館 所藏 『漢語指南』 初版本을 중심으로
-
Kim, Sang-kyu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13,
2013,
pp.251-270)
-
8
-
서산(瑞山) 보원사(普願寺) 철조여래좌상(鐵造如來坐像) 고찰(考察)
-
강건우;
국립청주박물관;
(美術資料,
v.100,
2021,
pp.22-49)
-
9
-
연호문(連弧文)의 제도와 삼한경(三韓鏡)의 기술 계보
-
이양수;
국립청주박물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4,
2021,
pp.164-183)
-
10
-
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 출토 통일신라 범종의 형태와 보존과학적 특성 고찰
-
김현정;
김수기;
국립청주박물관;
용인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0,
2007,
pp.357-3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