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49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한국어 어휘의 특성에 따른 교육방안
-
박배식;
동신대학교;
(한국어 교육 연구,
v.0,
2022,
pp.23-45)
-
2
-
한국어 '됐어'와 중국어 'X了(료)'의 대조 연구 -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-
-
장아남;
고려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8,
2017,
pp.181-219)
-
3
-
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- 외국인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-
-
김현진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2,
2011,
pp.47-73)
-
4
-
한국어 교육에서 교육자의 문화의식 성찰의 필요성 - 박완서의 소설 ‘그래도 해피 엔드’에 나타난 한국 문화 항목을 중심으로 -
-
김혜영;
부산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2,
2011,
pp.75-97)
-
5
-
고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학습자 주도 토론 방식 에 대한 연구
-
오상석;
정희정;
하버드대학교;
하버드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5,
2014,
pp.79-112)
-
6
-
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 전략 연구의 현황과 과제: 미국 대학 KFL 학습자를 대상으로
-
변앤드류;
뉴욕주립대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5,
2014,
pp.33-60)
-
7
-
한국어의 주격표지에 관한 소고: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제언
-
박휴용;
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19,
2008,
pp.113-140)
-
8
-
재영한글학교: 주요 쟁점들과 발전 방향
-
앤드류에드워드핀치;
경북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0,
2009,
pp.205-234)
-
9
-
한국어 숙달 정도에 따른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수정 선호 연구
-
김영주;
경희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0,
2009,
pp.337-358)
-
10
-
한국어 가상 학교(Virtual School) 설립을 위한 기초 연 구
-
류재율;
부산외국어대학교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26,
2015,
pp.89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