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권여선 소설에 나타난 애도 실패의 미학
- 김정선
-
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3 p., 2019
-
2.
- 권여선 『푸르른 틈새』의 중국어 번역 연구
- Piao, Yanmei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304 p., 2022
-
3.
-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가족서사의 특징연구 : 한강, 권여선, 편혜영 작품을 중심으로
- 박연수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[iii], 58 p., 2022
-
4.
- 애도, 정의, 그리고 유령적 타자: 혼톨로지로 읽는 한강, 김금희, 권여선 단편들
- 문광립
-
연세대학교,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24p., 2021
-
5
-
한국 현대문학에 나타난 ‘봄밤’ 의미 연구 - 김수영과 권여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-
-
이연화;
강원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333-351)
-
6
-
‘광주’를 현재화하는 일 -권여선의 레가토(2012)와 한강의 소년이 온다(2014)를 중심으로
-
조연정;
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0,
2014,
pp.101-138)
-
7
-
술이라는 플롯 권여선의 『안녕 주정뱅이』를 중심으로
-
구모룡;
한국해양대학교;
(한국연구,
v.0,
2019,
pp.93-116)
-
8
-
상실 주체와 ‘상실 주변’의 ‘(불)가능한 애도’ 양상 연구 -권여선의 『레몬』을 중심으로
-
마혜정;
목포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1,
pp.283-310)
-
9
-
치유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- 권여선의 「이모」와 오에겐자부로의 「공중괴물아구이」
-
조경덕;
평택대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2,
pp.43-68)
-
10
-
애도 반응과 상실치유 모색의 유형 - 권여선의 소설「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」을 중심으로 -
-
황영경;
신한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46,
2015,
pp.133-1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