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: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열의와 학업 무기력
-
기쁘다;
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;
(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: fer,
v.59,
2021,
pp.215-231)
-
2.
- 한국어 '기쁘다' 유사 어휘군의 의미론적 연구
- 정회란
-
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v, 120 p., 2007
-
3.
- (The) concept map and dimensionality of hope perception in Korean adolescents
- 기쁘다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1장, 2009
-
4
-
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: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증상의 순차적 매개효과
-
강혜성;
기쁘다;
고려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;
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;
(가족과 가족치료,
v.29,
2021,
pp.403-422)
-
5
-
부모소명이 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: 부모-자녀관계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
-
기쁘다;
이수란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경남대학교;
(가정과삶의질연구,
v.40,
2022,
pp.41-52)
-
6
-
아동기 역경 경험과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과의 연관성
-
강혜성;
기쁘다;
;
(한국심리학회지: 건강,
v.28,
2023,
pp.999-1021)
-
7
-
Snyder의 희망이론을 넘어서 : 희망의 재발견과 새로운 희망척도의 필요성
-
기쁘다;
이동귀;
김혜영;
Yonsei University;
Yonsei University;
Yonsei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22,
2008,
pp.75-92)
-
8
-
Snyder의 희망이론을 넘어서 : 희망의 재발견과 새로운 희망척도의 필요성
-
기쁘다;
이동귀;
김혜영;
Yonsei University;
Yonsei University;
Yonsei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22,
2008,
pp.75-92)
-
9
-
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‘기쁘다’와 ‘즐겁다’의 사용 패턴 비교 연구
-
신인환;
연세대학교;
(언어와 문화,
v.9,
2013,
pp.193-219)
-
10
-
Snyder의 희망이론을 넘어서:희망의 재발견과 새로운 희망척도의 필요성
-
기쁘다;
이동귀;
김혜영;
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22,
2008,
pp.75-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