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Writings of Kim, Dae-moon, the Representative Historian of Silla
-
Cho, In-sung;
;
(人文學硏究 :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50,
2022,
pp.223-249)
-
2
-
김대문의 저술
-
조인성;
경희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2,
pp.223-249)
-
3
-
화랑 설치에 관한 諸 史書의 기사 검토 - 김대문 『花郞世記』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-
金基興;
;
(歷史 敎育,
v.88,
2003,
pp.115-145)
-
4
-
화랑 설치에 관한 諸 史書의 기사 검토 ― 김대문 『花郞世記』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―
-
김기흥;
건국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3,
pp.49-82)
-
5
-
『삼국사기』 백제본기의 사료 계통과 그 성격
-
강종훈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42,
2006,
pp.79-102)
-
6
-
Silla Buddhism and the Hwarang segi Manuscripts
-
Richard D. McBride, II;
Washington University in St. Louis;
(동국사학,
v.0,
2008,
pp.35-71)
-
7
-
Views of Hwarangsegi(『花郞世紀』)
-
Lee , Jong-Wook;
;
(韓國古代史探究=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,
v.6,
2010,
pp.5-27)
-
8
-
底本 수용의 맥락을 통해 본 ≪三國史記≫ 新羅本紀 초기 기사의 이해 방향
-
이부오;
백석고등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11,
pp.5-47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