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5건 중 275건 출력
, 1/28 페이지
-
1
-
이사람-우리문화 김동춘 사장
-
유창준;
대한인쇄문화협회;
(프린팅코리아 = Printing Korea,
v.5,
2006,
pp.64-66)
-
2
-
저자초대석 - '근대의 그늘' 펴낸 김동춘 교수
-
최성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81,
2000,
pp.23-23)
-
3
-
한국형 능력주의의 정치역사적 재구성 : 김동춘, 『시험능력주의: 한국형 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강화하는가』(창비, 2022)
-
최, 율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37,
2023,
pp.245-250)
-
4
-
한국 사회의 공공성과 공적 지식인 : 그 구조적 특징과 변화-김동춘 교수와의 대화-
-
박영도;
성공회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2,
pp.299-345)
-
5
-
국가폭력으로 점철된 한국의 근대성을 캐묻다 : 김동춘, 『권력과 사상통제: 한국은 사상통제의 긴 터널에서 빠져나왔나』(역사공간, 2024)
-
정, 찬대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45,
2025,
pp.476-483)
-
6
-
열광을 뒤로하고 성찰적으로 응답해야 한다 - 김동춘, 『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: 한국전쟁과 학살, 그 진실을 찾아서』(사계절, 2013)
-
강성현,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01,
2014,
pp.267-275)
-
7
-
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진상 규명과 기억을 둘러싼 투쟁 『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-한국전쟁과 학살, 그 진실을 찾아서』 김동춘 저, 파주: 사계절, 2013
-
이승억;
국가기록원;
(기록학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,
v.38,
2013,
pp.311-316)
-
8
-
'사회적 타살'의 시대, 트라우마 극복의 길찾기(김동춘`김명희 외, ⟨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⟩, 역사비평사, 2014)
-
김상숙;
단국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5,
pp.418-427)
-
9
-
한국 사회의 공공성과 공적 지식인 : 그 구조적 특징과 변화-김동춘 교수와의 대화-
-
박영도;
성공회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2,
pp.299-345)
-
10
-
林分密度의 사정법
-
김동춘;
;
(산림,
v.121,
1976,
pp.66-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