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9건 중 189건 출력
, 1/19 페이지
-
1
-
생태 환경 공간의 생산과 그 혼종성(hybridity)에 대한 분석 : 청계천 복원을 사례로
-
김숙진;
;
(한국도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,
v.9,
2006,
pp.113-124)
-
2
-
가상현실과 패션디자인
-
김숙진;
;
(디자인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,
v.49,
2002,
pp.146-147)
-
3
-
생물다양성과 지적재산권, 그리고 국제통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
-
Kim Sook-Jin;
Department of Geography, The University of Minnesota;
(대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
v.41,
2006,
pp.195-211)
-
4
-
장소 마케팅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-고양시를 사례로-
-
김숙진;
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교육과;
(대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
v.34,
1999,
pp.209-225)
-
5
-
아상블라주의 개념과 지리학적 함의
-
김숙진;
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;
(대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
v.51,
2016,
pp.311-326)
-
6
-
가상의상 모델링 및 착장 소프트웨어를 위한 가이드라인
-
김숙진;
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;
(대한가정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,
v.44,
2006,
pp.127-135)
-
7
-
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본 지역공동체의 실제: 7개 산사, 한국의 산지승원을 중심으로
-
김숙진;
건국대학교 지리학과/대학원 세계유산학과;
(한국경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,
v.20,
2017,
pp.49-69)
-
8
-
태권도복에 관한 연구(제1보) -태권도복의 착용실태를 중심으로-
-
김숙진;
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대학원 졸업생;
(대한가정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,
v.25,
1987,
pp.19-32)
-
9
-
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유산의 장소 중심 자연-문화 통합보존관리: 한국의 갯벌을 사례로
-
김숙진;
건국대학교 지리학과/대학원 세계유산학과;
(한국경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,
v.27,
2024,
pp.223-239)
-
10
-
행위자-연결망 이론을 통한 과학과 자연의 재해석
-
김숙진;
건국대학교 지리학과;
(대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
v.45,
2010,
pp.461-4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