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越南漢文燕行文獻集成』 분석의 한 시각 - 『星槎紀行』과 『華程後集』에 나타난 朝·越 문인 교류를 중심으로
-
김영죽;
;
(한자한문연구,
v.7,
2011,
pp.239-267)
-
2.
- 秋齋 趙秀三의 燕行詩와「外夷竹枝詞」
- 김영죽
-
成均館大學校, 국내박사,
163 p., 2008
-
3
-
recorded in 1760 in Beijing
-
김영죽,;
;
(大東 文化 硏究,
v.90,
2015,
pp.69-108)
-
4
-
秋齋 趙秀三, 對山 姜溍, 冬郞 韓致元의 詩로 맺은 忘形之交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漢文古典硏究,
v.31,
2015,
pp.193-221)
-
5
-
한시 대중화, 그 독자층에 관한 고민
-
김영죽;
;
(동양학,
v.0,
2015,
pp.283-295)
-
6
-
秋齋 ?紀異?의 敍述方式과 敍述視角
-
김영죽;
고려대학교;
(漢文學報,
v.14,
2006,
pp.369-392)
-
7
-
對山 姜溍의 삶과 詩 - 檢書官 및 外職 시절의 시를 중심으로 -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漢文古典硏究,
v.26,
2013,
pp.169-204)
-
8
-
冬郞 韓致元의 初中年期 漢詩 고찰 -武人과 詩人 사이의 所懷-
-
김영죽;
대동문화연구원;
(漢文古典硏究,
v.42,
2021,
pp.305-335)
-
9
-
조선 후기 竹枝詞를 통해본 18, 19세기 중인층 지식인의 他者인식-조선 후기 胥吏 출신 秋齋 趙秀三의 竹枝詞類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-
-
김영죽;
고려대학교;
(漢文學報,
v.24,
2011,
pp.455-494)
-
10
-
秋齋 趙秀三의 竹枝詞類 創作에 대한 一考察
-
김영죽;
고려대학교;
(漢文學報,
v.21,
2009,
pp.445-4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