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소개 - 김원룡 편 「울릉도」
-
이홍직;
;
(亞細亞 硏究,
v.7,
1964,
pp.139-141)
-
2
-
동아문화연구소 소개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3,
1963,
pp.159-173)
-
3
-
한국미술사 연구의 이·삼문제
-
김원룡;
;
(亞細亞 硏究,
v.7,
1964,
pp.53-67)
-
4
-
고미술에 있어서의 한국적 성격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6,
1966,
pp.193-195)
-
5
-
한국 고고학의 발전1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82,
1982,
pp.3-26)
-
6
-
한국고고학의 신자료 일이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4,
1964,
pp.167-184)
-
7
-
한국미술 담론에서 ‘자연주의’의 의미: 김원룡의 ‘자연주의’와 이일의 ‘범자연주의’를 중심으로
-
김정은;
홍익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71,
2024,
pp.118-136)
-
8
-
동래출토의 선사시대 단경감
-
김원룡;
;
(亞細亞 硏究,
v.8,
1965,
pp.307-313)
-
9
-
동양학심포지움속기록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5,
1965,
pp.121-122)
-
10
-
김해무계리지석묘의 출토품
-
김원룡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63,
1963,
pp.139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