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0건 중 100건 출력
, 1/10 페이지
-
1
-
[특집논문/정지용] 정지용 시 정신의 본질
-
김유중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9,
2003,
pp.9-35)
-
2
-
이상 시를 바라보는 한 시각-금기의 인식과 위반의 충동
-
김유중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77,
2002,
pp.245-270)
-
3
-
김기림의 역사관, 문학관과 일본 근대 사상의 관련성 - ‘근대의 초극’론의 극복을 위한 사상적 모색 과정에 대한 검토
-
김유중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6,
2008,
pp.245-278)
-
4
-
김기림의 래디컬 모더니즘 수용과 그 의의
-
김유중;
;
(한국의 현대문학 : 한국근대장편소설연구,
v.4,
1995,
pp.171-196)
-
5
-
김춘수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
-
김유중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0,
2010,
pp.443-466)
-
6
-
조감도-이인.1/2의 해석
-
김유중;
;
(국어국문학,
v.130,
2002,
pp.223-245)
-
7
-
하이데거 시 이해의 관점에서 본 김수영 문학의 근본 목표
-
김유중;
;
(하이데거연구,
v.19,
2009,
pp.35-62)
-
8
-
영미 고전주의적 경향의 모더니즘 시론이 한국 현대시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
-
김유중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6,
2002,
pp.241-270)
-
9
-
김수영 시의 모더니티
-
김유중;
;
(국어국문학,
v.119,
1997,
pp.327-345)
-
10
-
놀이와 상상력, 시작(詩作)의 상관 관계 - 김수영 시 「달나라의 장난」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
-
김유중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4,
2006,
pp.273-2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