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"김일근(金一根) 저(著), 언간(諺簡)의 연구(硏究)
-
소재영;
;
(국어국문학,
v.106,
1991,
pp.269-269)
-
2
-
"김일근(金一根) 저(著), 언간(諺簡)의 연구(硏究)
-
황패강;
;
(국어국문학,
v.96,
1986,
pp.327-330)
-
3
-
면앙정(면仰亭) 송순(宋純) 자필분재(自筆分財)(分衿)기(記)의 국어문학적(國語文學的) 의의(意義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121,
1998,
pp.97-111)
-
4
-
박만호소창(朴萬戶所唱)의 입암별곡(立巖別曲) 고찰(考察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81,
1979,
pp.174-175)
-
5
-
언간(諺簡)의 국문학상(國文學上) 고찰(考察) -언간(諺簡)의 제학적(諸學的) 고찰(考察)의 일환(一環)으로-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58,
1972,
pp.57-82)
-
6
-
사희에 대하여
-
김일근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14,
1986,
pp.112-112)
-
7
-
신회우재작(申會友齋作) 단산별곡「丹山別曲」의 작자고(作者攷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95,
1986,
pp.433-437)
-
8
-
궁중여염간(宮中閭閻間) 왕복문서(往復文書)의 금기(禁忌)(taboo) 고(攷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53,
1971,
pp.111-114)
-
9
-
두시언해(杜詩諺解)와 황산곡시언해(黃山谷詩諺解)에 대한 이견(異見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27,
1964,
pp.137-143)
-
10
-
인목대비(仁穆大妃) 술회문(述懷文)의 소개(紹介)와 몇 가지 문제(問題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23,
1961,
pp.126-1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