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허균의 다양한 면모와 17세기 조선문화사의 지평- 김풍기, 『독서광, 허균』(그물, 2013)
-
정출헌;
부산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3,
pp.665-671)
-
2
-
潭樵 南永魯의 생애와 『玉樓夢』에 반영된 사유
-
김풍기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8,
2007,
pp.283-300)
-
3
-
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- 중화문명권으로의 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;
(한국어문학연구 =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8,
2012,
pp.165-188)
-
4
-
17세기 시가의 향유방식과 허균의 문학
-
김풍기;
;
(江原人文論叢,
v.12,
2004,
pp.87-107)
-
5
-
北渚 金瑬의 한시 연구
-
김풍기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18,
2012,
pp.3-28)
-
6
-
필담의 문화사 -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
-
김풍기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1,
2011,
pp.151-176)
-
7
-
고전의 번역과 대중화, 그 현실과 전망
-
김풍기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6,
2012,
pp.43-62)
-
8
-
허균의 문화적 토대와 독서 경향
-
김풍기;
;
(江原人文論叢,
v.14,
2005,
pp.25-43)
-
9
-
허균의 우정론과 그 의미
-
김풍기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0,
2010,
pp.115-138)
-
10
-
[특집논문/김시습] 김시습의 언해(諺解) 사업 참여와 절의의 문제
-
김풍기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5,
2004,
pp.29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