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1/15 페이지
-
1.
-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캐릭터와 나레이션이 사회적 존재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
- 김은주
-
국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80 p., 2008
-
2.
- TV뉴스의 색인방안에 관한 연구
- 장재화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9p., 2001
-
3.
-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이미지와 말의 대위법적 구성 : 크리스 마커의 영화를 중심으로
- 신은희
-
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7 p., 2016
-
4
-
표현 방법의 차용과 영상문학의 가능성 - TV 드라마 〈키스 먼저 할까요〉를 중심으로
-
이상재;
홍익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9,
pp.93-114)
-
5
-
순정만화의 멜로적 형식과 감성의 정치학
-
김지영;
백석문화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6,
pp.419-459)
-
6.
- 스릴러 장르 웹툰의 영화적 연출 연구 : 웹툰 악연의 나비효과를 중심으로
- 박정현
-
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81, 2022
-
7
-
사적지 기행 다큐멘터리의 담론체계와 글쓰기 방안
-
송팔성;
아주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6,
pp.59-88)
-
8.
- 언어정보의 제시 형태에 따른 학습효과 연구 : 컴퓨터 애니메이션에 수반되는 언어정보를 중심으로
- 김경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05p., 1997
-
9.
- 온라인 강의에서 강사 제시 유형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, 성취도, 학습 만족도 차이 규명
- 구한나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i, 110, 2006
-
10
-
사이버 강좌의 정보제시유형이 학습 수행과 만족도, 학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
-
김윤희;
천경희;
김미진;
영남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;
대구대학교 심리학과;
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;
(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,
v.2006,
2006,
pp.480-4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