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9건 중 309건 출력
, 1/31 페이지
-
1
-
주민참여형 마을녹화사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 모형 - 서울시 생활권녹화사업을 대상으로 -
-
이애란;
조세환;
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전공;
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.경관생태조경학과;
(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,
v.5,
2018,
pp.35-44)
-
2
-
UAE의 녹화 사업
-
심의섭;
명지대학교;
(한국중동학회논총,
v.25,
2004,
pp.33-56)
-
3
-
문학교육의 녹화사업모색
-
정정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,
2002,
pp.28-45)
-
4
-
우리나라 도로녹화(道路綠花)의 발전과정(發展過程)과 비탈면 녹화사업(綠化事業)의 전망(展望)
-
정태건;
한국도로공사;
(環境復元綠化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,
v.2,
1999,
pp.88-93)
-
5
-
한국 삼림 녹화 사업의 일등공신 현신규
-
박성래;
한국외국어대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7,
2004,
pp.100-103)
-
6
-
치산녹화 사업의 새가치관
-
우보명;
;
(산림,
v.92,
1973,
pp.23-30)
-
7
-
UAE의 녹화 사업
-
심의섭;
명지대학교;
(한국중동학회논총,
v.25,
2004,
pp.33-56)
-
8
-
Enactment of the Forest Law and Greening Project by the Park Chung-hee Regime in the 1960s
-
KANG, Jung-won;
;
(한국 근현대사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,
v.92,
2020,
pp.141-173)
-
9
-
방송사업자의 일시적 녹음·녹화에 관한 연구
-
하동철;
김광석;
한국방송공사;
KBS;
(방송문화연구,
v.24,
2012,
pp.127-159)
-
10
-
장풍국에서 도시녹화사업의 기온조절효과 -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
-
천인호;
;
(GRI 연구논총 = GRI review,
v.13,
2011,
pp.339-3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