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주민 구술설화의 담화적 특성과 다문화사회에서의 의미-총서 ⟨다문화 구비문학대계⟩를 바탕으로-
-
오정미;
인하대학교;
(언어와 문화,
v.18,
2022,
pp.91-112)
-
2
-
HAN'GUK TAMUNHWA SAHOE'WA CHONGGYO 한국 다문화사회와 종교 [MULTICULTURAL SOCIETY AND RELIGION IN KOREA]. By PakChong‐su 박종수. Taegu Kat'ollik Taehakkyo Tamunhwa Yŏn'guwŏn Tamunhwayŏn'gu Ch'ongsŏ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 다문화연구총서, 7. P'aju 파주: Han'guk Haksul Chŏngbo 한국학술정보, 2019. Pp. 285. Paperback, ₩20,000.
-
Pokorny, Lukas K.;
University of Vienna;
(Religious studies review,
v.50,
2024,
pp.822-823)
-
3
-
신장에서 중국으로 - 중국 ‘신장항목’ 전후의 연구 변화상
-
박선영;
세종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9,
pp.103-156)
-
4.
- 교회학교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
- 강수연
-
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