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도자기 --요지 --광주]
-
1
-
全南 靈光 出土 “內贍”銘 粉靑沙器의 研究
-
徐廷昊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7,
2007,
pp.67-98)
-
2.
- 중국 명·청(明?) 시대 4대 요지의 수출 도자 연구
- 장은아
-
단국대학교, 국내박사,
136, 2023
-
3.
-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17세기 후반 도자기 복원 연구 -신대리 20호 출토 백자철화운룡문호를 중심으로-
- 양의진
-
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75, 2023
-
4
-
陶器所ㆍ磁器所 問題와 分院時期의 對日貿易 - 高興 雲岱里 窯址를 中心으로
-
김영원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20,
2005,
pp.49-79)
-
5.
- 남원도요지 지표조사를 위한 사료(史料)에 관한연구 : -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를 중심으로-
- 한광훈
-
서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i, 85p., 2017
-
6
-
銘文資料를 통해 본 廣州 牛山里 窯址群의 性格
-
김봉준,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66,
2010,
pp.123-156)
-
7.
- 대전 원내동과 부안 유천리 도자기의 과학적 분석
- 강현삼
-
公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v, 84p., 2003
-
8.
- 17世紀 鐵畵白磁 硏究 : 京畿道 廣州 官窯를 中心으로
- 변은숙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4 p., 2000
-
9.
- 朝鮮時代 陶瓷祭器 硏究
- 안성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98 p., 2005
-
10
-
‘당사기(唐沙器)’ 考
-
장남원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46,
2024,
pp.127-1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