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독서(讀書) 사고력(思考力) 계발(啓發)을 위한 독서지도(讀書指導)
-
이정희;
성균관대학교 사서교육원;
(한국비블리아 = Th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,
v.5,
1981,
pp.1-35)
-
2
-
중고등학생(中高等學生)의 독서(讀書) 경향(傾向)과 한자(漢字) 교육(敎育) 문제(問題)
-
이병선;
;
(국어국문학,
v.22,
1960,
pp.90-99)
-
3
-
조선후기 초학자를 위한 독서 교육의 방법과 현대적 전망 -언어 교육 및 작문 교육과의 연계성에 주목하여-
-
안세현;
강원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20,
pp.159-196)
-
4
-
황덕길의 독서론 고찰
-
김순희;
충남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2,
pp.221-238)
-
5
-
朝鮮朝 經筵에서 英祖의 讀書歷 考察
-
김중권;
광주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9,
pp.23-58)
-
6
-
고소설 낭독의 문화사회사적 실제와 그 의미 -수직적 낭독과 수평적 낭독의 이해-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연민학지,
v.38,
2022,
pp.359-398)
-
7
-
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
-
박종배;
;
(한국학논총,
v.33,
2010,
pp.43-73)
-
8
-
서주(西洲) 김사진(金思鎭)의 삶과 학문성향
-
권오영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연민학지,
v.36,
2021,
pp.91-123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