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청화간 『서법』과 고대중국의 역학(易學)
-
원용준;
충북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0,
pp.131-158)
-
2
-
베트남한자음 開口3等 重紐의 반영양상에 대하여 - 陽聲·入聲韻을 중심으로 -
-
이경철;
이상이;
동국대학교;
동국대학교;
(일본어교육연구,
v.0,
2015,
pp.173-190)
-
3
-
활과 검의 불교적 상징과 미술 표현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8,
pp.109-128)
-
4.
- (A) Study on the Four Guardian King Statues in the Unified Silla Dynasty
- 권강미
-
東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ii, 116p., 2001
-
5.
- 서각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재료의 다양성 연구
- 양영
-
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P99, 2012
-
6
-
신라 능묘에 보이는 국제교류 - 獸頭人身 武將形 十二支像을 중심으로
-
서남영;
경북대학교;
(신라문화,
v.65,
2025,
pp.363-398)
-
7.
- A Study on the Direct Imposition Method of High-speed Railway Facility Charge : Focusing on the Case of Suseo High-Speed Railway : 고속철도 시설사용료 직접부과 산정방식에 관한 연구 : 수서고속철도를 사례를 중심으로
- Seonghee,Lee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v, 163p, 2016
-
8.
-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성체계 연구
- 신웅주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21 p., 2009
-
9.
- 주자의 괘 형성 이론에 관한 고찰
- 김경훈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6 p., 2006
-
10.
- 중학교 미술과 집중이수제 실제에 관한 대안 연구
- 조원일
-
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2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