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개화기 기독교계 학교의 발달-소학교를 중심으로
-
류방란;
;
(韓國文化,
v.28,
2001,
pp.251-272)
-
2
-
개화기 배재학당의 교육과정 운영
-
류방란;
;
(敎育史學硏究,
v.8,
1998,
pp.161-200)
-
3
-
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교내 방과후 교실 운영 방안 탐색
-
류방란;
한국교육개발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21,
2004,
pp.245-264)
-
4
-
초등학교 특별활동의 운영 실태 분석-계발활동을 중심으로-
-
류방란;
한국교육개발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21,
2004,
pp.307-327)
-
5
-
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관행의 유지와 변화
-
류방란;
한국교육개발원;
(교육사회학연구,
v.15,
2005,
pp.113-138)
-
6
-
수업 통제방식을 통해 본 교사문화
-
류방란;
한국교육개발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22,
2005,
pp.285-308)
-
7
-
저소득층 학생의 학교 적응, 수업 태도, 학업 성취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 분석
-
류방란;
김성식;
한국교육개발원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교육,
v.44,
2017,
pp.95-122)
-
8
-
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가정의 부정적 기능 완화 효과: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
-
류방란;
송혜정;
한국교육개발원;
중앙대학교;
(한국교육,
v.38,
2011,
pp.119-139)
-
9
-
중학교 초임 교사들의 당면 문제와 대처 방식
-
류방란;
한국교육개발원;
(한국교육,
v.29,
2002,
pp.59-86)
-
10
-
학교교육의 미래 전망 (CERI의 미래 학교 전망 시나리오에 대한 교육계 리더들의 인식)
-
류방란;
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;
(한국교육,
v.31,
2004,
pp.21-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