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베이징 컨센서스, 혹은 불화의 정치학 - 레이모 외 저, 김진공ㆍ류준필 역, 『베이징 컨센서스』
-
이진경;
박태호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16,
pp.183-196)
-
2
-
[기획]19세기 말 '독립'의 개념과 정치적 동원의 용법
-
류준필;
;
(역사문제연구,
v.2003,
2003,
pp.45-82)
-
3
-
분단체제론과 동아시아론
-
류준필;
;
(亞細亞 硏究,
v.52,
2009,
pp.38-72, 259-260)
-
4
-
"文言 · 白話"를 넘어서 - 근대 중국에서 "국어" 문제
-
류준필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06,
2006,
pp.163-207)
-
5
-
章炳麟의 『文學論略』에 나타난 文 觀念의 性格과 意味
-
류준필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00,
2000,
pp.63-86)
-
6
-
베이징 컨센서스, 혹은 불화의 정치학 - 레이모 외 저, 김진공ㆍ류준필 역, 『베이징 컨센서스』
-
이진경(박태호)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16,
pp.183-196)
-
7
-
일본에서의 ‘修辭學’ 형성과 중국 文論의 대응 - 明治 시기의 修辭學과 章太炎의 文論
-
류준필;
;
(亞細亞 硏究,
v.54,
2011,
pp.28-64, 221)
-
8
-
보편주의와 전통 변용의 구상 : 류준필, 『동아시아의 자국학과 자국문학사 인식』, 소명출판, 2013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3,
pp.520-528)
-
9
-
‘한국문학사’의 인식과 서술 체계-『한국문학통사』의 갈래론을 중심으로-
-
류준필,;
;
(한국문화연구,
v.37,
2019,
pp.61-101)
-
10
-
한자문화권 문화교육에서의 古文 활용 방안과 그 의의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08,
pp.271-3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