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왕슈의 십리홍장문화원(十里紅妝文化園)에 나타난 전통원림(園林) 건축 요소의 재현에 대한 연구
-
장명월;
백진;
서울대 건축학과;
서울대 건축학과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38,
2022,
pp.139-149)
-
2
-
재일조선인의 정체성을 보는 시각: ‘더블’의 역사성에 관한 담론을 통해
-
리홍장;
;
(일본비평,
v.8,
2016,
pp.134-157)
-
3
-
재일조선인의 정체성을 보는 시각: ‘더블’의 역사성에 관한 담론을 통해
-
리홍장;
고베학원대학;
(일본비평,
v.0,
2016,
pp.134-157)
-
4
-
시조 <샌량쓰 불상을 보고>와 신채호의 내면 -샌량쓰, 전단불상, 눈물-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0,
pp.127-151)
-
5.
- 임오(1882)년 가례 왕세자·왕세자빈 복식연구
- 안애영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192 p., 2010
-
6
-
사카모토 료마의 국가 건설사상 -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선중팔책(船中八策)
-
임태홍;
;
(정치사상연구 = The Korean review of political thought,
v.10,
2004,
pp.137-159, 254-255)
-
7
-
현대 중국의 동상정치 - 20세기 이후 동상에서 보이는 정치적 함의
-
조혜정;
목원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0,
pp.447-475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