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카를 마르크스의 재발견
-
마르셀로 무스토;
요크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7,
2010,
pp.182-210)
-
2
-
새로운 연구중심으로서의 모스크바 마르크스-엥겔스 연구소의 부상 니벨룽의 보물 3
-
정문길;
고려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4,
2007,
pp.164-222)
-
3
-
마르크스와 엥겔스가 남긴 지적 유산의 전승역사 :「니벨룽의 보물」 서평
-
임경석;
서울시립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5,
2008,
pp.258-272)
-
4
-
엥겔스의 사망과 마르크스-엥겔스 유고의 행방: 니벨룽의 보물 2
-
정문길;
고려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4,
2007,
pp.346-391)
-
5
-
마르크스 연구의 새로운 장, 그리고 비판적 사회과학의 재구성: 2007년 ≪역사유물론≫ 연례 학술대회 보고
-
김공회;
영국 soas 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5,
2008,
pp.228-252)
-
6
-
니벨룽의 보물: 마르크스-엥겔스 유고(遺稿)의 유전(流轉)과 그 출판
-
정문길;
고려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3,
2006,
pp.180-229)
-
7
-
한국에서의 신MEGA 시대의 개막: 마르크스의 새로운 수용과 해석을 위한 하나의 전기
-
정문길;
고려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7,
2010,
pp.10-28)
-
8
-
신MEGA Ⅰ/5, 「독일 이데올로기」의 구상과 구성 - 특히 “Ⅰ. 포이어바하” 장과 관련하여
-
정문길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31,
2007,
pp.195-220, 237-238)
-
9
-
소련 붕괴 후 마르크스의 에콜로지의 ‘재발견
-
사이토 코헤이;
오사카시립대학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6,
2019,
pp.89-110)
-
10
-
The Conceptualization and Formation of German Ideology: With Special Reference to I. Feuerbach Chapter
-
정문길;
고려대학교;
(현상과 인식,
v.31,
2007,
pp.197-2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