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7건 중 207건 출력
, 1/21 페이지
-
1
-
[무량수경연의술문찬](無量壽經連義述文贊)의 사십팔원(四十八願)
-
김양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불교학연구,
v.18,
2007,
pp.295-318)
-
2
-
New Indications of the Historical Plays During the Post-Independence Period
-
문경연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34,
2011,
pp.125-163)
-
3
-
일제말기 ‘부여’표상과 정치의 미학화 - 이석훈과 조택원을 중심으로
-
문경연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33,
2011,
pp.189-224)
-
4
-
[무량수경연의술문찬](無量壽經連義述文贊)의 사십팔원(四十八願)
-
김양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불교학연구,
v.18,
2007,
pp.295-318)
-
5
-
1930년대 한일 역사극의 담론지형 고찰 - 유치진과 무라야마 도모요시를 중심으로
-
문경연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4,
2010,
pp.31-58)
-
6
-
한국 근대 대중연극계의 기억과 침묵 읽기 - 남성 필자의 회고록과 자서전을 중심으로
-
문경연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26,
2007,
pp.99-130)
-
7
-
대북 기술·지식 협력의 과제
-
문경연;
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;
(KDI 북한경제리뷰 = KDI Review of the North Korean Economy,
v.23,
2021,
pp.19-32)
-
8
-
재일 한국인 극작가 정의신의 낯선 역사 재현 - 〈야끼니꾸 드래곤〉을 중심으로
-
문경연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38,
2012,
pp.207-242)
-
9
-
1940년대 국민연극과 친일협력의 논리 - 유치진을 중심으로
-
문경연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29,
2008,
pp.47-82)
-
10
-
한국 근대연극 형성과정의 풍속통제와 오락담론 고찰 - 근대초기 공공오락기관으로서의 ‘극장’을 중심으로
-
문경연;
;
(국어국문학,
v.151,
2009,
pp.343-3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