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96건 중 396건 출력
, 1/40 페이지
-
1
-
開化期의 文藝思潮
-
金㶅
涷
;
(精神文化,
v.2,
1979,
pp.28-30)
-
2.
- Meeting others : western literature and art trend in the viewpoint of critics
- 박정원
-
北京大學, 국외박사,
149p., 2002
-
3
-
『근대사조』의 매체적 성격과 문예사상적 의의
-
정우택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34,
2005,
pp.149-198)
-
4.
- 문예 사조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: 모더니즘 소설「소설가 구보씨의 일일」을 중심으로
- 이효진
-
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75.p, 2012
-
5
-
19세기 프랑스 부르주아 사회와 문예사조의 변천에 대한 고찰(Ⅰ)
-
송기형;
;
(한국프랑스학논집 = Revue d'etudes françaises,
v.77,
2012,
pp.209-239)
-
6.
- 朝鮮後期 文藝思潮의 雅俗兼備的 審美意識 硏究
- 박진경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58p., 2019
-
7
-
이상의 성격연구-작품분석과 문예사조수용을 중심으로-
-
장윤익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6,
1972,
pp.119-122)
-
8
-
고대부터 낭만주의까지 서구 문예사조의 연속성과 순환성
-
백찬욱;
;
(한국프랑스학논집 = Revue d'etudes françaises,
v.53,
2006,
pp.153-186)
-
9
-
키워드를 통해 보는 근대 잡지의 문예사조적 특성 —《백조》와 낭만주의를 중심으로—
-
도재학;
경기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20,
pp.183-210)
-
10
-
明淸代의 性靈文藝思潮와 心學思想
-
임진호;
초당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04,
pp.225-2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