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극예술연구회 제10회 공연작 <촌선생>의 무대화 과정과 ‘농촌극’의 새로운 존재 방식에 관한 연구
-
김남석;
부경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1,
pp.421-462)
-
2
-
외국문학연구회와 양주동의 번역 논쟁
-
김욱동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40,
2010,
pp.57-75)
-
3
-
'인상파' 리얼리즘 형성에 대한 소고
-
고혜경;
광주보건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1,
2009,
pp.367-396)
-
4.
- 1930년대 朝鮮樂의 근대적 기획과 보급
- 석지훈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00 p., 2017
-
5.
- 『朝鮮野談集』의 구성 및 특징 연구
- 김성수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6 p, 2024
-
6
-
1910년대 일본어 아동문예물 형성과 재조일본인 사회 형성 초기 아동교육
-
이현진;
고려대학교;
(일본어문학,
v.0,
2024,
pp.281-301)
-
7
-
1930년대 말 치안유지법을 통해 본 조선 문학 - 조선문예부흥사 사건과 조선 문학자들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09,
pp.205-241)
-
8
-
북으로 간 국문학자 신구현: 경성제대 출신 독학자에서 주체문예학자가 되기까지
-
정종현;
인하대학교;
(인문논총,
v.81,
2024,
pp.113-152)
-
9
-
김송의 해방 전후 야담 활동: 출판인-야담가의 위상과 야사연구회의 존재
-
공임순;
서강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4,
pp.145-181)
-
10
-
일제강점기 천도교 기관지 『新人間』을 통해 본 수운주의(水雲主義) 예술론의 실천
-
우수영;
경북대학교;
(동학학보,
v.0,
2023,
pp.359-3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