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‘작가’가 ‘문학’이 될 때: 『문학동네』의 작가 발굴 제도와 자전소설을 중심으로
-
유승희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3,
pp.31-59)
-
2
-
내면의 그림자가 눈을 뜨다 - 은이정 청소년소설 『괴물, 한쪽 눈을 뜨다』문학동네 2011
-
왕지윤;
;
(창비어린이,
v.9,
2011,
pp.278-280)
-
3
-
슬프고 답답한 공포 - 안미란 외 6인 동화집『하얀 얼굴』창비 2010, 방미진 청소년소설『손톱이 자라날 때』문학동네 2010
-
박숙경;
;
(창비어린이,
v.8,
2010,
pp.290-292)
-
4.
- 이문구 소설의 세계관과 충남 방언 연구
- 노문희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103 p., 2011
-
5.
- 1970년대 소설의 세 가지 미학과 소설교육 : 윤흥길, 조세희, 이문구의 연작 소설을 중심으로
- 정은주
-
한국교원대학교, 국내박사,
viii, 260 p., 2018
-
6
-
서하진 소설에 나타난 〈방〉의 공간성 연구
-
안남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3,
2005,
pp.215-234)
-
7.
- 이문구의 『우리동네』 연구
- 한만수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9 p., 2006
-
8.
- 김소진 소설 연구
- 감정옥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102 p., 2007
-
9.
- 김소진 소설 연구 : 갈등 및 극복의 양상을 중심으로
- 박혜민
-
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0
-
10.
- 김소진 소설에 나타나는 기억의 서사화 방식
- 박지현
-
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, 국내석사,
93장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