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잡지『근화』와 문학동인지시대
-
이경돈;
성균관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09,
pp.351-373)
-
2
-
광복 50년의 문학: 동시대(同時代) 문학(文學)의 정신적(精神的) 지향(指向)
-
우한용;
;
(국어국문학,
v.115,
1995,
pp.479-488)
-
3
-
인천월드컵경기장 노출 콘크리트 시공사례
-
윤여진;
인문학경기장, 성지건설(주);
(콘크리트학회지 =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,
v.14,
2002,
pp.102-106)
-
4
-
대산(大山) 김대거(金大擧)의 사상과 문학 ― 동아시아발(發) 근대 평화사상으로서의 원불교
-
조성면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08,
pp.169-208)
-
5
-
대산(大山) 김대거(金大擧)의 사상과 문학 ― 동아시아발(發) 근대 평화사상으로서의 원불교
-
조성면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08,
pp.169-208)
-
6
-
해방기 시 동인지 『죽순』의 위상과 『전선시첩』으로의 이동
-
박용찬;
경북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2,
pp.143-177)
-
7
-
『경성일보(京城日報)』의 문예란(1906~20)과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 문학: 동시기 일본어 잡지 문예란의 비교를 중심으로
-
정병호;
고려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8,
pp.395-422)
-
8
-
중국의 비교문학 연구사와 동아시아적 시각
-
全炯俊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40,
2003,
pp.17-34)
-
9
-
리투아니아 근대문학의 형성에 관한 연구
-
이상금;
서진석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42,
2013,
pp.459-489)
-
10
-
중국 '친일문학' 연구의 시각과 쟁점(1)
-
신정호;
목포대학교;
(중국어문학,
v.0,
2006,
pp.493-5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