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백대진 단편소설 연구
-
문혜윤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3,
2004,
pp.142-163)
-
2
-
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‘강화(講話)’로서의 『문장』
-
문혜윤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09,
2009,
pp.41-66)
-
3
-
1930년대 어휘의 장과 문학어의 계발 - 어문운동의 맥락과『문장강화』의 지향
-
문혜윤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7,
2006,
pp.201-234)
-
4
-
국토 여행과 ‘조선시’의 형식 - 정지용의 「장수산2」를 중심으로
-
문혜윤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1,
2007,
pp.155-174)
-
5.
- 1930년대 국문체의 형성과 문학적 글쓰기
- 문혜윤
-
고려대학교, 국내박사,
191 p., 2006
-
6.
- GO로 유도된 수용성 양이온 포르피린의 분자 평면화와 산열기 평형 사이의 영향에 관한 연구 : Studies 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acid-base equilibria and molecular flattening of water soluble cationicporphyrin induced by graphene oxide
- 문혜윤
-
순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9, 2015
-
7
-
1920-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 문학
-
문혜윤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6,
pp.183-205)
-
8
-
근대 문학자의 한자어 인식과 국문/한글 문체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1,
pp.105-134)
-
9
-
이상의 『동해』에 나타난 언술 형식 연구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46,
2002,
pp.10-343)
-
10
-
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‘강화(講話)’로서의 『문장』
-
문혜윤;
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,
2009,
pp.41-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