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83건 중 283건 출력
, 1/29 페이지
-
1
-
탈냉전기 미일 관계의 지표: 미일방위협력지침 개정의 외교정책사적 의의
-
남창희;
한국국방연구원;
(공공정책연구 = Journal of Public Policy,
v.4,
1998,
pp.227-253)
-
2
-
탈냉전기의 미일관계 - 일본 내 친미여론의 사회적 배경에 관한 연구
-
남궁곤;
;
(국제관계연구 = IRI review,
v.9,
2004,
pp.41-75)
-
3
-
탈냉전 후 종속적 미일관계의 지속 요인 분석
-
이갑윤;
김세걸;
서강대학교;
서강대학교;
(동아연구,
v.0,
2004,
pp.139-167)
-
4
-
일본의 동아시아외교: 미일동맹과 중일관계의 상관성
-
손기섭;
부산외대;
(세계지역연구논총,
v.25,
2007,
pp.225-251)
-
5
-
오바마 행정부의 미일관계
-
김호섭;
중앙대학교;
(신아세아,
v.16,
2009,
pp.131-154)
-
6.
- 한미, 미일동맹이 한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연구 : -북핵위협과 순위협이론을 중심으로-
- 남태오
-
국방대학교 관리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3
-
7
-
태평양 전쟁 전 미일관계와 현재의 미중관계 비교를 통한 미중간 전쟁 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
-
김태성;
해군;
(Strategy 21,
v.19,
2016,
pp.37-81)
-
8
-
일본 하토야마내각과 미일관계
-
김성철;
세종연구소;
(한일군사문화연구,
v.11,
2011,
pp.3-40)
-
9
-
Japanese Non-combatant Evacuation Operation(NEO) in a Korean Peninsula Crisis and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: Focused on Japan-ROK Relations, Japan-US Relations,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EO policies
-
Matsuura, Masanobu;
;
(韓日軍事文化硏究= Journal of Korean-Japanese military & culture,
v.27,
2019,
pp.199-234)
-
10
-
미일관계와 동맹의 딜레마(1960∼72) -일본 측 정치동학을 중심으로-
-
이기완;
창원대학교;
(대한정치학회보,
v.17,
2009,
pp.73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