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박병채(朴炳采) 저(著) 고려가요(高麗歌謠) 어석연구(語釋硏究)
-
편집부;
;
(국어국문학,
v.44,
1969,
pp.208-208)
-
2
-
서평 -조용만·송민호·박병채 공저 『일제하의 문화운동사』
-
오주환;
;
(亞細亞 硏究,
v.14,
1971,
pp.181-186)
-
3
-
서평 - 김민수 저 『국어문법론』
-
박병채;
;
(亞細亞 硏究,
v.14,
1971,
pp.271-276)
-
4
-
향가표기(鄕歌表記)의 원류적(原流的) 고찰(考察)
-
박병채;
;
(국어국문학,
v.32,
1966,
pp.1-11)
-
5
-
조선조 초기 국어한자음의 성조고 - 훈몽자회의 전승자음을 중심으로 -
-
박병채;
;
(亞細亞 硏究,
v.14,
1971,
pp.41-58)
-
6
-
「훈몽자회(訓蒙字會)」의 이본간(異本間) 이성조(異聲調) 고(攷)
-
박병채;
;
(국어국문학,
v.55,
1972,
pp.239-254)
-
7
-
고대국어의 음운 - 박병채(1971)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-
-
김무림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어학,
v.55,
2012,
pp.21-39)
-
8
-
고대 국어의 한자음연구(聲類篇)
-
박병채;
;
(亞細亞 硏究,
v.9,
1966,
pp.1-70)
-
9
-
파열음고(破裂音攷)
-
박병채;
;
(국어국문학,
v.17,
1957,
pp.77-93)
-
10
-
고대국어와 한자음 연구: 우운 박병채 선생의 연구를 중심으로
-
정경일;
건양대학교;
(한국어학,
v.58,
2013,
pp.259-2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