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모노크롬비회화의 특성 연구 : 박서보 작품 중심으로
- 서우희
-
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3 p., 2008
-
2.
- 박서보의 회화 세계 연구
- 이부용
-
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ⅸ, 102 p., 2015
-
3
-
한국 현대 추상미술의 통어(通語), 박서보의 <묘법>: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디지털까지
-
최정주;
홍익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21,
pp.271-294)
-
4.
- 비움의 미학, 박서보 묘법[描法]의 건축적 재해석을 통한 단색화 미술관 계획 : 종로구 ‘자문밖’ 미술관 프로젝트 사업을 활용하여
- 김연희
-
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81, 2022
-
5
-
박서보의 묘법: 반복이 만든 차이의 미술
-
박정애;
공주교육대학교;
(미술이론과 현장,
v.0,
2021,
pp.127-153)
-
6
-
박서보의 <묘법(描法)>에 나타난 ‘무위(無爲)’의 미학과 단색화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
-
하수희;
성균관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4,
pp.333-360)
-
7
-
Park Seo-Bo’s Écriture: The Art of Difference Created by Repetition
-
Park, Jeong-Ae;
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32,
2021,
pp.127-153)
-
8
-
박서보의 1970년대 ⟨묘법⟩과 전통론- 야나기 무네요시와 박서보 사이의 지도 그리기
-
박계리;
서울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07,
pp.39-57)
-
9
-
박서보의〈원형질(原形質)〉연작 연구: ‘절규하는 인간의 영상’ —사르트르(J-P. Sartre)의 사상과 접목 고찰—
-
김현화;
숙명여자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4,
pp.136-167)
-
10.
- 단색화의 표현 특성을 바탕으로 한 다려도 뮤지엄스테이 계획안 : 박서보, 이진우, 정상화 작품을 중심으로
- 정지후
-
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96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