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연구 방향 탐색: “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”의 지향을 위하여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2,
2020,
pp.25-61)
-
2
-
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Civic Engagement of Korean Immigrant Youth in the United States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1,
2019,
pp.29-65)
-
3.
- 청소년 경제적 합리성과 형성 요인
- 박선운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2 p., 2009
-
4
-
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‘문화’ 개념 분석 및 개선 방향 탐색: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사회과교육,
v.60,
2021,
pp.45-62)
-
5
-
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2,
2020,
pp.113-154)
-
6
-
성 소수자 관련 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: 다문화 시민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
-
박선운;
박윤경;
서울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3,
2021,
pp.29-58)
-
7
-
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논쟁문제 유형 및 논쟁문제 교수학습 과정 분석
-
황미영;
박선운;
부산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3,
2021,
pp.183-215)
-
8
-
사회과 서⋅논술형 평가 개선 방향 모색: 한국과 미국 워싱턴주 사회과 서⋅논술형 평가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
-
박선운;
황미영;
서울대학교;
부산대학교;
(교육연구,
v.81,
2021,
pp.67-96)
-
9
-
대학입학사정관제와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
-
박성혁;
조영달;
성경희;
박선운;
;
(열린교육연구,
v.21,
2013,
pp.321-350)
-
10
-
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박윤경;
박선운;
청주교육대학교;
서울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24,
2021,
pp.39-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