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13건 중 413건 출력
, 1/42 페이지
-
1
-
운영기관에 따른 민간위탁 도서관의 비교분석
-
박슬기;
박은주;
최경자;
;
(문헌정보학회지,
v.12,
2005,
pp.59-75)
-
2
-
시학-리듬론의 장르론적 성격과 ‘시학’의 행위성: 박슬기, 『한국 근대 자유시의 원천과 그 실험들: 최남선에서 김억까지』, 소명출판, 2024
-
홍성희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5,
pp.311-337)
-
3
-
최남선의 신시(新詩)에서의 율(律)의 문제
-
박슬기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0,
2010,
pp.191-217)
-
4
-
이광수의 문학관, 심미적 형식과 "조선"의 이념화
-
박슬기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30,
2006,
pp.279-296)
-
5
-
1930 년대 한국 모더니즘에서의 바로크 시학: 김기림의 알레고리와 시인의 존재론
-
박슬기;
서강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22,
pp.91-123)
-
6
-
춘향의 사랑, 향유의 노래 - 전봉건의 《춘향연가》 연구
-
박슬기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4,
2008,
pp.353-380)
-
7
-
김억의 번역론,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
-
박슬기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0,
2010,
pp.103-132)
-
8
-
1950년대 시론에서 ‘서정’ 개념의 논의와 ‘새로운 서정’의 가능성 - 고석규의 부정성의 시학을 중심으로
-
박슬기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09,
pp.335-363)
-
9
-
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최남선의 산문시 - ‘읽는 시’의 율적 가능성
-
박슬기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2,
2012,
pp.41-66)
-
10
-
한국 근대시의 새로운 리듬론, 리듬 음성중심주의를 넘어서 - 주요한의 「불노리」에서의 내면과 언어의 관계
-
박슬기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36,
2013,
pp.9-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