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고구려 벽화고분의 帷帳의 설치와 기능
-
박아림;
;
(고구려발해연구,
v.44,
2012,
pp.137-167)
-
2
-
한대 하남성 남양 화상석 연구
-
Ah-Rim Park;
;
(高句麗硏究= Journal of Koguryo studies,
v.23,
2006,
pp.225-247)
-
3
-
고구려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 연구
-
박아림;
;
(高句麗硏究= Journal of Koguryo studies,
v.29,
2007,
pp.283-303)
-
4
-
18세기 일본 마사노부의 판화에 나타난 에도문화
-
Park Ah-rim;
Department of Asian & Middle Eastern Stud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;
(古文化 = Korean antiquity,
v.52,
1998,
pp.135-162)
-
5.
-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of intracranial in-stent restenosis : A phantom study with 320-row MDCT angiography
- 박아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29 p., 2015
-
6
-
고구려 고분벽화의 원류(原流), 중국 고분벽화 - 박아림, 『중국한당벽화(中國漢唐壁畫)』(학연문화사, 2022) -
-
김근식;
전남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5,
2023,
pp.155-162)
-
7
-
고구려 무용총 편년의 재검토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4,
2009,
pp.69-100)
-
8
-
高句麗 壁畵와 甘肅省 魏晋時期(敦煌 包含) 壁畵 比較硏究
-
박아림;
University of Pennsylvania;
(고구려발해연구,
v.16,
2003,
pp.5-146)
-
9
-
5세기 고구려와 북위의 고분미술의 畫稿의 전래와 적용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4,
2019,
pp.109-138)
-
10
-
중국의 북조 시대 고분 출토품에 보이는 북방·서역계 금속용기의 전래 - 고구려 벽화고분에 보이는 북방·서역계 문화의 유입 경로의 이해를 위하여 -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241-2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