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박주택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 연구
-
김원경;
경희대학교;
(국제언어문학,
v.0,
2024,
pp.7-30)
-
2
-
박주택 시 연구의 정립을 위한 試論적 검토
-
박성준;
충남대학교;
(국제언어문학,
v.0,
2025,
pp.99-133)
-
3
-
현대시 담론에 관한 비판과 전망
-
박주택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6,
2006,
pp.125-148)
-
4
-
공간 인식을 통한 시 분석 방법론 연구 —박주택 시집 『꿈의 이동건축』을 중심으로
-
김태형;
경희대학교 K-컬처·스토리콘텐츠연구소;
(한국문예창작,
v.24,
2025,
pp.67-90)
-
5
-
상호텍스트성과 패스티쉬 비판
-
박주택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7,
2007,
pp.205-232)
-
6
-
정지용 시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
-
박주택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30,
2011,
pp.113-144)
-
7
-
박주택 시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환대의 시학 - 『또 하나의 지구가 필요할 때』를 중심으로
-
인수봉;
경희대학교;
(리터러시 연구,
v.16,
2025,
pp.365-388)
-
8
-
이육사 시의 낙원 의식 연구
-
박주택;
경희대학교;
(어문연구,
v.68,
2011,
pp.453-481)
-
9
-
≪三四文學≫의 아방가르드 구현 양상 연구
-
박주택;
경희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6,
2020,
pp.213-254)
-
10
-
백석 시의 자연 이미지와욕망의 구현 연구
-
박주택;
경희대학교;
(어문연구,
v.52,
2006,
pp.233-2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