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박화목 초기 동화에 나타난 가족 해체의 양상과 의미
-
장수경;
목원대학교;
(동화와 번역,
v.0,
2024,
pp.169-195)
-
2
-
박화목 동시 연구(2) - 본향에 대한 그리움의 감각적 구체화
-
진선희;
;
(한국초등교육,
v.21,
2011,
pp.13-30)
-
3
-
폐허에서 동심을 발견하는 두 가지 방법 -박화목과 손동인을 중심으로-
-
강수환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4,
pp.561-590)
-
4
-
박화목 동시 연구 (1) -발표 현황을 중심으로-
-
진선희;
대구교육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0,
2010,
pp.5-38)
-
5
-
출판저널 칼럼
-
박화목;
한국아동문학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40,
1989,
pp.1-1)
-
6
-
박화목 동시 연구(2) - 본향에 대한 그리움의 감각적 구체화
-
진선희;
대구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21,
2011,
pp.13-30)
-
7.
-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문자언어 기능의 통합활동 지도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
- 박화목
-
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68p., 2010
-
8.
-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현대음악 감상수업 지도 방안 연구 : 쇤베르크의 <바르샤바 생존자>를 중심으로
- 박화목
-
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68 p., 2018
-
9
-
現代詩作法
-
朴和穆;
;
(보건세계,
v.9,
1962,
pp.81-83)
-
10
-
검열과 개작: 채동선 작곡・정지용 시의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
-
강영미;
;
(한국학,
v.44,
2021,
pp.109-1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