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영화 〈고지전〉을 통해 본 분단서사와 그 극복 가능성 전망
-
Bang, Yurina;
;
(통일인문학논총 = The journal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55,
2013,
pp.97-130)
-
2
-
영화 〈무산일기〉에 나타난 두 가지 시선과 그 서사적 의미
-
방유리나;
;
(통일인문학논총 = The journal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52,
2011,
pp.207-230)
-
3
-
설화 <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>에 나타난 부자관계와 그 서사적 의미 - 설화 <쥐좆도 모른다>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
Bang, Yurina;
;
(통일인문학논총 = The journal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56,
2013,
pp.149-187)
-
4.
- 고전문학의 남녀서사를 활용한 영화창작치료 연구
- 방유리나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282 p., 2006
-
5
-
전설을 활용한 영화창작과정에 나타난 집단의 문제의식 탐색
-
방유리나;
한남대학교;
(겨레어문학,
v.0,
2012,
pp.101-137)
-
6
-
영화 ⟨무산일기⟩에 나타난 두 가지 시선과 그 서사적 의미
-
방유리나;
한남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52,
2011,
pp.207-230)
-
7
-
설화 ⟨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⟩에 나타난 부자관계와 그 서사적 의미―설화 ⟨쥐좆도 모른다⟩와의 비교를 중심으로―
-
방유리나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56,
2013,
pp.149-187)
-
8
-
설화 ⟨구복여행⟩과 영화 ⟨내 이름은 칸⟩의 서사 비교를 통해 본 복 구하기와 인연 맺기의 의미
-
방유리나;
건국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28,
2013,
pp.227-251)
-
9
-
우울증과 관련된 분노서사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
-
방유리나;
목원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0,
2014,
pp.487-514)
-
10
-
연등축제와 영화창작에 담긴 문학치료적 의미-빛, 이미지, 서사를 중심으로-
-
방유리나;
건국대학교;
(겨레어문학,
v.0,
2008,
pp.161-1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