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백무산 시 연구 - 90년대 이후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
-
남기택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7,
2007,
pp.31-53)
-
2
-
백무산 시 연구
-
남기택;
강원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07,
pp.31-53)
-
3
-
시집서평-남진우.윤의섭.이상호.백무산의 시집을 읽고
-
차차룡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01,
1996,
pp.21-21)
-
4
-
시(詩)로 빚은 존재론의 경지 -백무산의 경우-
-
송석랑;
충남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6,
pp.325-343)
-
5
-
[동시] 새들이 세 들어 사는 곳 외 2편
-
백무산;
;
(창비어린이,
v.5,
2007,
pp.138-141)
-
6
-
시(詩)로 빚은 존재론의 경지 -백무산의 경우-
-
송석랑;
충남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6,
pp.325-343)
-
7
-
1990년대 후일담 시에 나타난 ‘아직-아닌-존재의 존재론(Ontologie des Noch-Seins)’과 희망의 원리 - 박영근과 백무산의 시를 중심으로
-
김난희;
순천향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67,
2021,
pp.35-67)
-
8
-
‘시적인 것’으로서의 노동과 성(性), 그리고 스타일-백무산과 장정일의 1980년대 시
-
최현식;
인하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2,
pp.194-230)
-
9
-
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logy through the thought of Confucius and Mencius - Focused on Baek Mu San’s poetry -
-
Kim, Dong-myeong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20,
2020,
pp.7-40)
-
10.
- 노동자 출신 시인의 시세계 변모 양상 연구 : 박노해·박영근·백무산을 중심으로
- 조대희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31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