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역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박물관 학습 방안 - 초등학생의 복천박물관 견학을 중심으로
-
오인택;
;
(지역과 역사 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3,
2003,
pp.113-148)
-
2
-
종장판갑(縱長板甲) 부장의 다양성과 의미 - 부산 복천동 164·165호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-
-
이유진;
복천박물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4,
2011,
pp.178-199)
-
3
-
종장판갑의 변화와 사용·의례적 맥락 검토
-
이현주;
복천박물관;
(고고광장,
v.0,
2024,
pp.53-89)
-
4
-
18-19세기 호적 호의 가입 원리와 이를 통해 본 호의 모습: 가옥의 소유권 및 임차권과 관련하여
-
장경준;
복천박물관;
(한국학연구,
v.0,
2013,
pp.623-669)
-
5
-
종장판갑(縱長板甲) 부장의 다양성과 의미 - 부산 복천동 164·165호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-
-
이유진;
복천박물관;
(문화재,
v.44,
2011,
pp.178-199)
-
6
-
新石器時代 南海岸地域의 骨角器文化에 대한 考察
-
하인수;
복천박물관;
(고문화,
v.0,
2009,
pp.5-31)
-
7
-
부산지역 출토 철모로 본 가야·신라의 창병(槍兵)운용
-
이성훈;
복천박물관;
(고문화,
v.0,
2024,
pp.53-82)
-
8.
- 이용자 중심의 박물관 소통 증진 연구
- 임소연
-
동의대학교, 국내박사,
xv, 317 p., 2020
-
9
-
東三洞貝塚 文化에 관한 試論
-
하인수;
복천박물관;
(한국신석기연구,
v.0,
2009,
pp.1-41)
-
10
-
南部地域 櫛文土器의 樣式과 型式 문제
-
하인수;
복천박물관;
(한국신석기연구,
v.0,
2013,
pp.67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