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집트 민주화 혁명에서 SNS와 소셜 저널리즘: 페이스북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
-
설진아;
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;
(한국언론정보학보 =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& Information,
v.58,
2012,
pp.7-30)
-
2
-
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모델의 출현: 소셜 뉴스사이트, '위키트리' 사례연구
-
Seol, Jinah;
Department of Media Arts & Sciences,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;
(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=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,
v.16,
2015,
pp.83-90)
-
3.
- 군(軍) 소셜미디어 비주얼콘텐츠 특성에 따른 홍보효과 연구 : 육군 페이스북 비주얼콘텐츠와 이용자 반응 사례 실증분석을 중심으로(2018 ~2019)
- 김종현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90 p., 2023
-
4
-
이집트 민주화 혁명에서 SNS와 소셜 저널리즘: 페이스북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
-
설진아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한국언론정보학보,
v.58,
2012,
pp.7-30)
-
5
-
시민저널리즘의 중국적 특징
-
윤경우;
국민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0,
2012,
pp.5-37)
-
6.
- 뉴스 플랫폼으로서의 페이스북과 유튜브 비교 연구 : 행위자-연결망 이론과 의미 연결망 분석 적용
- 전상현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6 p., 2020
-
7.
- 국내 기자들의 소셜미디어 정보 이용과 뉴스 제작 과정의 변화 연구
- 방은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, 277 p., 2013
-
8
-
미디어로서의 봇(bot) 뉴스 챗봇에 대한 시론적 논의
-
오세욱;
한국언론진흥재단;
(한국언론정보학보 =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& Information,
v.79,
2016,
pp.70-103)
-
9
-
천안함 침몰 사건과 미디어 통제: 탐사보도 프로그램 생산자 연구
-
김상균;
한희정;
MBC;
국민대학교;
(한국언론정보학보,
v.66,
2014,
pp.242-272)
-
10.
- 저널리즘의 `사실성` 개념 형성과 의미 :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문예사조의 영향
- 이충환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51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