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검도(劍道)와 불교(佛敎) - 불교로부터의 교훈을 중심으로
-
이종원;
;
(대한검도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kumdo,
v.19,
2003,
pp.47-51)
-
2
-
염불가류 불교 가사의 성격
-
전재강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4,
2012,
pp.133-160)
-
3
-
4∼5세기 高句麗의 佛敎 수용과 그 성격 : ‘왕권강화 이론체계로서의 불교 수용’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
-
趙, 宇然;
;
(韓國古代史探究=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,
v.7,
2011,
pp.49-95)
-
4
-
찬불가류 불교 가사의 지향적 주제와 다층적 갈래 성격
-
전재강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37,
2012,
pp.385-421)
-
5
-
불교 가사 형성의 발생학적 정황
-
전재강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31,
2010,
pp.205-237)
-
6
-
지형 불교 가사의 구조적 성격
-
전재강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2,
2011,
pp.153-182)
-
7
-
한국(韓國) 소재(所在) 불교(佛敎) 교장문헌(敎藏文獻)의 서지조사(書誌調査)
-
남권희;
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66,
2016,
pp.45-74)
-
8
-
발원가류 불교 가사의 존재 위상과 성격
-
전재강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7,
2012,
pp.179-205)
-
9
-
토굴가류 불교 가사의 갈래 성격과 이념 지향
-
전재강;
;
(국어교육연구,
v.50,
2012,
pp.459-486)
-
10
-
〈회심곡〉류 불교 가사의 단락 전개ㆍ구성과 선악ㆍ생사관
-
전재강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5,
2012,
pp.135-1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