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동아시아 민족의 백두산 始源 인식 형성과 확산 -清代 滿洲族 社會를 중심으로
-
김준영;
한경대학교 백두산연구센터;
(중국사연구,
v.0,
2023,
pp.63-92)
-
2
-
고구려의 경제 지리 - 농업·광업·목축·소금 생산의 지리적 분포를 중심으로
-
최진열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4,
pp.75-158)
-
3
-
『滿洲源流考』의 전거자료와 발해 강역에 대한 서술태도
-
김진광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8,
pp.31-69)
-
4
-
白頭山(長白山)和 中.韓(朝鮮) 國境線 問題
-
양대언;
연변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11,
pp.93-132)
-
5.
- 靺鞨의 成長을 통해 본 高句麗와의 관계
- 김영천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석사,
72 p., 2006
-
6
-
한ㆍ만주족의 시조선화에 대한 비교연구
-
柳映先;
;
(亞細亞文化硏究,
v.5,
2001,
pp.337-374)
-
7.
- 중국 청대((清代) 만주족(滿族) 의 교육 연구
- 쑨, 첸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3 장, 2023
-
8
-
靺鞨의 成長과 高句麗의 靺鞨服屬
-
김영천;
고려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2,
2008,
pp.9-38)
-
9.
- 중국 소수민족신화 시론
- 이연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18p., 1999
-
10
-
20세기 전반 일본인 연구자들의 ‘만주사’ 만들기
-
정상우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20,
pp.165-2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