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97건 중 597건 출력
, 1/60 페이지
-
1
-
염상섭 《무화과》 연구- 새 시대의 징후와 대안 인물의 등장 -
-
김성연;
동덕여자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5,
pp.181-197)
-
2.
- 朝鮮後期 風俗畵의 硏究 : 檀園과 蕙園 風俗畵의 表現形式을 中心으로
- 김혜승
-
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vi, 85p., 1988
-
3.
- 일제 말 친일 희곡의 변모양상과 극작술 연구 : 박영호·송영 극작품을 중심으로
- 양수근
-
명지대학교, 국내박사,
iv, 160 p., 2006
-
4.
- 趙基天 詩 硏究
- 김낙현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19 p., 2010
-
5
-
가부장적 사회를 향한 불온한 목소리 - 이태준의 『딸 삼형제』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
-
이행미;
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441-458)
-
6.
- 金弘道 風俗畵에 內在된 藝術觀의 흐름과 時代的 背景에 관한 硏究
- 김지은
-
원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5 p., 2001
-
7
-
[특집/친일문학] 박영호 희곡의 인물 연구 -「산돼지」「물새」「별의 합창」을 중심으로
-
이재명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4,
2003,
pp.120-146)
-
8
-
魏晉南北朝 文學의 神話 運用 考察
-
이인택;
울산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02,
pp.2-58)
-
9.
- 1980년대 양귀자 단편소설의 주체와 통치성 연구
- Lai, Yifei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1 p., 2024
-
10.
- 전통판소리의 대중화를 위한 재창작 방안 연구 : <춘향가>를 중심으로
- 김명자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3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