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1건 중 961건 출력
, 1/97 페이지
-
1
-
昌寧郡의 새로 찾은 生活遺蹟 - 光山遺蹟과 都泉遺蹟
-
鄭澄元;
洪潽植;
;
(釜大史學,
v.19,
1995,
pp.1-18)
-
2
-
청주지역 원삼국~백제시대 생활유적 토기 상대편년 연구
-
조상기;
중앙문화재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07,
pp.41-88)
-
3.
- 충남 지역의 원형점토띠토기 출토 생활유적 연구
- 전일용
-
韓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66p., 2006
-
4
-
유적 분포로 본 문화영역과 생활권 - 전남지방 묘제를 중심으로
-
이영문;
;
(島嶼文化,
v.14,
1996,
pp.397-410)
-
5
-
同位元素 分析을 이용한 新石器時代의 食生活과 貝塚 遺蹟의 占有 季節性 硏究
-
안덕임;
한서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1,
pp.181-214)
-
6
-
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식생활 양상
-
신지영;
강다영;
김상현;
정의도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한국문물연구원;
한국문물연구원;
(분석과학 = Analytical science & technology,
v.26,
2013,
pp.387-394)
-
7.
- 統一新羅 鐵製 農·工具의 特性과 發展樣相 : 生活遺蹟을 中心으로
- 宋閏貞
-
한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54 p., 2007
-
8
-
청주지역 원삼국~백제시대 생활유적 토기 상대편년 연구
-
조상기;
중앙문화재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07,
pp.41-88)
-
9.
- 경기지역 조선 후기 분묘유적 출토 인골 연구 : 병리학적 특성 및 식생활 복원을 중심으로
- 민찬홍
-
한양대학교, 국내석사,
97, 2022
-
10.
-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식생활 연구 : 서울 고덕동·평택 양교리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을 중심으로
- 신의주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48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