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
-
서동엽;
춘천교육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24,
2014,
pp.429-442)
-
2
-
수학 지필 평가의 실제 분석
-
서동엽;
춘천 교육 대학교;
(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,
v.5,
2001,
pp.19-36)
-
3
-
증명 지도의 목표와 수준에 대한 소고
-
서동엽;
;
(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=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,
v.5,
1995,
pp.203-215)
-
4
-
수학 영재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적용 방안
-
서동엽;
춘천교육대학교;
(학교수학 = School Mathematics,
v.7,
2005,
pp.237-252)
-
5
-
수학의 형식과 대상에 따른 수학적 추론 지도 수준
-
서동엽;
춘천교육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6,
2006,
pp.95-113)
-
6
-
초등 수학 교재에서 활용되는 추론 분석
-
서동엽;
춘천교육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3,
2003,
pp.159-178)
-
7
-
실 대수 G 다양체의 부동점 집합의 정규성에 대하여
-
서동엽;
한국과학기술원 수학과;
(Communications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= 대한수학회논문집,
v.7,
1992,
pp.365-373)
-
8
-
중학교 학생의 증명 능력 분석
-
서동엽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9,
1999,
pp.183-203)
-
9
-
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초등 수학교육 비교 연구: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
-
서동엽;
춘천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;
(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,
v.24,
2020,
pp.207-229)
-
10
-
확률 개념 도입의 맥락과 난점
-
서동엽;
홍진곤;
춘천교육대학교;
경기여자고등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1,
2001,
pp.179-1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