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보은 법주사 <괘불탱>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
-
이장존;
경유진;
이종수;
서민석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(사)성보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;
(사)성보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2,
2019,
pp.226-245)
-
2
-
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화기에 기록된 채색 재료의 해석
-
이은우;
윤지현;
권윤미;
신태호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36,
2020,
pp.519-532)
-
3
-
과학적 분석에 의한 은해사 괘불탱의 상태 및 재료 해석
-
이은우;
경유진;
윤지현;
권윤미;
송정원;
서민석;
이장존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성보문화재연구원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문화재보존과학센터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35,
2019,
pp.689-700)
-
4
-
조선후기 영남지역 사찰벽화의 위계와 불전성향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불교미술사학,
v.24,
2017,
pp.283-320)
-
5
-
‘옷’을 매개로 한 불교 상례의 의례구조와 특성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한국민속학,
v.45,
2007,
pp.37-63)
-
6
-
朝鮮 後期 佛卓 연구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미술사학연구,
v.0,
2004,
pp.121-170)
-
7
-
‘일생’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비교민속학,
v.0,
2009,
pp.225-257)
-
8
-
윤달 ‘세절밟기’의 민속적 전개와 제의적 특성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10,
2007,
pp.145-173)
-
9
-
불교의례의 佛具와 그 用法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09,
pp.179-220)
-
10
-
朝鮮後期 佛畵와 佛殿莊嚴具에 表現된 器物 硏究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07,
pp.853-8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