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부사 성여신의 유람을 통해 본 은일관 및 경세관과 그 의미 - 「방장산선유일기」와 기행시를 중심으로 -
-
김종구;
경북대학교;
(우리말글,
v.76,
2018,
pp.211-240)
-
2.
- 浮査 成汝信 硏究
- 고순정
-
慶尙大學校, 국내석사,
iii,79장, 1996
-
3
-
醒狂 文劼과 梅村 文弘運의 生涯와 文學
-
윤호진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08,
pp.31-75)
-
4
-
成汝信의 「遊頭流山詩」에 대하여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6,
pp.41-73)
-
5
-
浮査 成汝信의 문학과 기록 -산수기에서 진양지까지-
-
손혜리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南冥學硏究,
v.0,
2022,
pp.37-69)
-
6
-
조선 중기 진주지역 사족과 청곡사의 장소성
-
박용국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8,
pp.1-34)
-
7
-
진주(晉州) 망진산(望晉山)의 역사문화경관과 명승적 가치
-
김세호;
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40,
2022,
pp.10-19)
-
8
-
대소헌 조종도의 시와 삶에 나타난 高士的 風趣와 그 지향 가치
-
김종구;
경북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24,
pp.171-206)
-
9
-
晋陽誌의 출판
-
오이환;
경상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1,
pp.77-109)
-
10
-
‘矗石樓中三壯士’ 詩의 事蹟에 관하여
-
김해영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3,
pp.125-164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