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9건 중 309건 출력
, 1/31 페이지
-
1
-
동남방언의 성조소에 대한 재검토
-
임석규;
;
(국어국문학,
v.135,
2003,
pp.37-69)
-
2.
- 미술교육에 있어서 창의성 연구 : 중학교 조소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
- 김희창
-
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5p., 2003
-
3
-
국어 성조론의 두 단위; 성조소와 형태소 성조형
-
이문규;
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;
(어문학,
v.0,
2024,
pp.73-117)
-
4.
- 중국 북송시대 조소군상의 조형성 연구 : 산서성 진사시녀 조소군상을 중심으로
- 장연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45 p., 2015
-
5
-
동남방언의 성조소에 대한 재검토
-
임석규;
가톨릭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135,
2003,
pp.21-40)
-
6
-
권진규 조소예술의 종교성과 조형성
-
윤범모;
가천대학교;
(현대미술학 논문집,
v.5,
2001,
pp.37-63)
-
7.
- 보이드 형체를 통한 형태와 물성의 균형적 조소교육 : 초등학교 미술을 중심으로
- 김동준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0p., 2006
-
8.
- 국민학교 조소교육의 추상표현에 관한 연구 : 창의성 신장을 중심으로
- 崔善姬
-
단국대학교 大學院, 국내석사,
77 p., 1993
-
9.
- 다양한 조소적 표현기법을 활용한 창의성 신장에 관한 연구 :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
- 원지연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0 p., 2009
-
10
-
미소인가? 조소인가?: 온라인 게임에서 지위가 높은 청소년과 낮은 청소년의 웃음 이모티콘 긍정성 이해 차이
-
이국희;
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교양학부;
(감성과학 = Science of emotion & sensibility,
v.24,
2021,
pp.3-16)